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2025년 추석 연휴, 문 여는 병원·약국 총정리 (응급실·E-Gen·휴일지킴이)

by alsn3519 2025. 10. 1.
반응형

 

 

추석 연휴 건강 가이드

· 연휴 기간: 10월 3일(금) ~ 10월 9일(목)

1) 2025년 추석 연휴 기간

2025년 추석 연휴는 10월 3일(금)부터 10월 9일(목)까지 7일입니다. 연휴 동안 일반 외래 진료는 휴무가 많지만, 보건당국과 지자체는 당직의료기관휴일지킴이 약국을 지정해 의료 공백을 줄입니다. 특히 추석 당일(10월 6일)과 전후 주말은 운영 기관 수가 더 적을 수 있어, 미리 가까운 병원·약국 정보를 저장해 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핵심 요약
  • 연휴: 10/3(금) ~ 10/9(목)
  • 일반 외래 다수 휴진, 응급실은 24시간 유지
  • 당직 병원·휴일지킴이 약국 지정 운영

2) 응급실 24시간 운영 체계

연휴에도 전국 응급의료체계는 평상시와 동일하게 가동됩니다. 언론·당국 발표를 종합하면 응급의료기관 약 413개소가 24시간 진료를 유지하며, 유형은 아래와 같습니다.

분류 개소 비고
권역응급의료센터 44곳 중증 외상·심뇌혈관 집중 대응
지역응급의료센터 137곳 권역-지역 연계 거점
지역응급의료기관 232곳 지역 접근성 확보
합계 413곳 연휴 24시간 운영
대기 시간 유의

명절에는 경증 환자도 응급실로 몰리며 대기가 길어질 수 있습니다. 생명 위급이 아니면 가까운 당직 병·의원을 먼저 이용하세요.

3) 문 여는 병원·의원 현황

추석 연휴에는 지자체 지정에 따라 하루 평균 약 8,800개 병·의원이 운영될 전망입니다. 내과·소아청소년과·이비인후과 등 수요가 큰 진료과를 중심으로 당직 체계가 가동됩니다. 대학병원 외래는 대부분 휴진이지만, 각 병원의 응급실은 정상 운영합니다.

소아 환자 팁
  • 고열·경련·의식저하 등은 지체 없이 119 요청
  • 경증 발열·기침·구토 등은 소아청소년과 당직의원 먼저
운영 시간은 기관별 상이

같은 지역이라도 요일·시간이 달라질 수 있으니 방문 전 전화 확인이 필수입니다.

4) 휴일지킴이 약국 이용

연휴 동안 하루 평균 약 6,964개 약국이 문을 엽니다. 처방전 조제는 물론, 해열제·진통제·소화제 등 일반의약품 구매가 가능합니다. 지역별 지정 현황은 E-Gen과 앱에서 날짜·시간 기준으로 확인하세요.

상황 추천 상비약 주의
과식/소화불량 소화제, 제산제 지속 복통·구토는 내원
감기 초기 해열진통제, 기침·콧물약 고열 지속/호흡 곤란 시 진료
장거리 이동 멀미 멀미약, 수분보충 음료 졸음 유발 약복용 후 운전 금지

5) 빠르게 찾는 법: E-Gen·응급똑똑·129·120·119

  • E-Gen: 지역/진료과/운영시간 필터로 병원·약국 실시간 검색
  • 응급똑똑 앱: 내 위치 기반 가까운 응급실/당직기관 확인
  • 129(보건복지부), 120(시·도 콜센터): 운영 여부 전화 안내
  • 119 구급상황관리센터: 응급상담 및 이송 요청
검색 팁

E-Gen → 병·의원/약국에서 날짜를 연휴 해당일로 맞추고, 진료과·운영시간 필터를 동시에 적용하면 헛걸음을 줄일 수 있습니다.

6) 응급 상황 대처 요령 (증상별)

즉시 119 대상
  • 가슴 통증·호흡 곤란·갑작스런 마비/실어증
  • 의식 저하·심한 출혈·교통사고 중증 외상
  • 아이의 고열(≥39℃)·경련·탈수·청색증
경증일 때
  • 감기·소화불량·경미한 염좌 등은 당직 병·의원 우선
  • 증상 악화/지속 시 응급실로 이동

교통 체증이 예상되므로 안전상 가장 가까운 응급실 또는 당직의료기관부터 이용하세요. 내비게이션 목적지로는 “응급실” 키워드 검색이 빠릅니다.

7) 추석 연휴 건강 관리 팁

  • 식습관: 기름진 명절 음식은 소식, 물 충분히 섭취
  • 운전: 2시간마다 휴식, 카페인·환기, 졸음운전 금지
  • 상비약: 해열제·진통제·소화제·멀미약·소독약·밴드
  • 만성질환: 처방약 연휴 전 재고 확인·추가 처방 준비
  • 노약자: 탈수·저체온 예방(수분·가벼운 겉옷), 혼잡 피하기

8) 공식 확인 경로 & 참고

※ 운영 계획·통계는 보건당국 공지 및 주요 언론 보도를 종합한 내용으로, 기관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방문 전 반드시 전화 확인하세요.

  • 응급의료포털 E-Gen: www.e-gen.or.kr
  • 보건복지부 콜센터: 129 · 시·도 콜센터: 120 · 119 구급상황관리센터: 119
  • 응급똑똑(앱): 위치기반 응급실/당직기관 확인
  • 응급의료기관(예시 집계): 권역 44 · 지역센터 137 · 지역기관 232 · 합계 약 413
  • 연휴 중 평균 운영(예상): 병·의원 약 8,800곳/일 · 약국 약 6,964곳/일

 

함께 읽으면 도움되는 글

2025.09.29 - [이것*저것] - 2025 추석 안전 가이드|교통사고·화재 예방법 총정리

 

2025 추석 안전 가이드|교통사고·화재 예방법 총정리

목차추석, 왜 안전이 중요한가?추석 교통사고, 이렇게 예방하세요귀성·귀경길 운전 필수 체크리스트추석 화재, 주방과 성묘길 모두 주의가정에서 꼭 지켜야 할 화재 예방 수칙추석 안전 캠페인

yhsilver6.com

2025.09.26 - [이것*저것] - 2025 추석 인사말 모음 | 부모님·직장 상사·지인에게 전하는 문구 총정리

 

2025 추석 인사말 모음 | 부모님·직장 상사·지인에게 전하는 문구 총정리

민족 대명절 추석은 가족과 이웃, 직장 동료에게 감사와 안부를 전하는 따뜻한 시간이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부모님·친척·지인에게 전하는 따뜻한 추석 인사말부터, 직장 상사·거래처용 격식

yhsilver6.com

 

반응형